상담심리치료학과
-
가족·청소년·조직상담전공 교수
- 담당과목 :
- 연락처 : 02-940-5743 (한울관615호)
- 이메일 : kki70@kw.ac.kr
- 약력 :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(교육상담전공), (현)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상담심리 전공 교수
-
가족·청소년·조직상담전공 교수
- 담당과목 :
- 연락처 : 02-940-8655 (누리관205호)
- 이메일 : minkw0712@kw.ac.kr
- 약력 :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(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), (현재)상담복지정책대학원 운영위원회 위원 등
-
가족·청소년·조직상담전공 교수
- 담당과목 : 집단상담, 심리검사 및 진단, 상담 현장실습, 논문특별세미나
- 연락처 : 02-940-8497 (한울관 709호)
- 이메일 : counseljy@kw.ac.kr
- 약력 : 광운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박사(상담심리 전공)
-
가족·청소년·조직상담전공 교수
- 담당과목 :
- 연락처 : 02-940-5423 (한울관 624호)
- 이메일 : sanglee@kw.ac.kr
-
가족·청소년·조직상담전공 교수
- 담당과목 : 청소년상담
- 이메일 : jamietr@hanmail.net
-
가족·청소년·조직상담전공 교수
- 담당과목 : 이상심리, 가족상담이론과실제
- 이메일 : mindwith323@gmail.com
-
가족·청소년·조직상담전공 교수
- 담당과목 : 발달심리와청소년, 상담기법, 상담이론과실제
- 이메일 : jesus01logos@gmail.com
-
- 담당과목 : 집단상담실습
- 이메일 : yoai73@nate.com
-
- 담당과목 : 부부및커플상담
- 이메일 : seongyh@gmail.com
-
- 담당과목 : 조직상담과기업코칭
- 이메일 : yesyesri@gmail.com
-
- 담당과목 : 상담연구방법론, 상담통계분석
- 이메일 : kangsc@dju.kr
권경인 교수
박사학위  :  서울대학교 교육학 박사 (교육상담 전공)
석사학위  :  서울대학교 교육학 석사 (교육상담 전공)
보유 자격증
-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수련감독급 (174호 / 집단상담 분과학회)
-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(245호)
주요이력
- (전) Visiting Scholar, Counseling & Psychological Services, University of California, Berkeley (UC Berkeley)
담당과목
대표연구
- 권경인 (2007). 한국 집단상담 대가의 발달과정 분석.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.
- 권경인, 조수연 (2015). 집단상담 윤리 요소 도출을 위한 델파이 연구. 상담학연구, 16(6), 219-240.
- 권경인, 김지연, 계은경 (2017). 집단상담 수업 경험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17(4), 1-25.
- 권경인, 김지영 (2019).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 위기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: 상담자 경험을 중심으로. 상담학연구, 20(3), 369-393.
- 양정연, 권경인 (2020). 집단상담동맹 척도 개발 및 타당화. 상담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. 32(3), 1263-1296.
저서
- 권경인 (2008). 집단상담 활동. 교육과학사.
- 권경인 (2008). 대가에게 배우는 집단상담. 학지사.
- 권경인 (2023). 관계의 힘을 더하는 부모심리수업. 라이프앤페이지.
민경화 교수
박사학위  :  서울대학교 교육학 박사 (교육상담 전공)
석사학위  :  연세대학교 심리학 석사 (상담심리 전공)
보유 자격증
-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수련감독급 (46호 / 기업상담, 대학상담 분과학회)
-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(186호)
주요이력
- (현) SK이노베이션 외 기업상담 및 코칭 (2005년 ~)
- (전) 한국상담학회 분과 대학상담학회 회장 (2020-2021년)
- (전)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상담교수
담당과목
- 상담기법
- 조직상담과기업코칭
- 상담이론과실제
- 논문특별세미나
대표연구
- 민경화, 최윤정 (2007). 상담학연구에서 개념도 방법의 적용. 상담학연구, 8(4), 1291-1307.
(http://doi.org/10.15703/kjc.8.4.200712.1291)
- 민경화, 김창대 (2014). 상담자가 인식한 작업동맹 위기표지. 상담학연구, 15(1), 35-57.
(http://doi.org/10.15703/kjc.15.1.201402.35)
- 이승화, 민경화(2015). 중년기 삶의 의미 유형에 다른 분류 및 특성. 상담학연구, 16(5), 399-415.
(http://doi.org/10.15703/kjc.16.5.201510.399)
- 임소영, 민경화(2017). 평가염려 완벽주의 및 사후반추사고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: 사고통제방략의 조절된 매개
효과. 상담학연구, 18(3), 59-73.
(http://doi.org/10.15703/kjc.18.3.201706.59)
- 박호용, 민경화(2021). 공공 상담기관 청소년상담자의 역할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: 내재적 동기로 조절된 심리적
소진의 매개효과. 청소년학연구, 28(12). 217-243.
(http://doi.org/10.21509/KJYS.2021.12.28.12.217)
저서
- 상담심리학 (공역) 2017 사회평론아카데미
- 상호작용중심의 집단상담 : 대인관계적, 행동지향적, 정신역동적 접근의 통합 (공역) 2004, 시그마프레스
양정연 교수
박사학위  :  광운대학교 심리학 박사 (상담심리 전공)
석사학위  :  광운대학교 심리치료학 석사 (심리치료전공)
보유 자격증
-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(1060호)
-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1급 (924호)
주요이력
- 현) 한국기업상담학회 총무이사 (2025년~)
- 현) 한국상담학회 서울·경기·인천지역학회 운영위원
- 전) 광운상담연구소 전문위원
- 전) 성균관대학교 카운슬링센터 수퍼바이저
- 전) 국제대학교, 숙명여자대학교 출강
담당과목
- 집단상담
- 심리검사 및 진단
- 상담 현장실습
- 논문특별세미나
대표연구
- 양정연, 권경인 (2012). 상담자, 내담자 애착유형 조합에 따른 상담관계: 작업동맹, 역전이 행동 중심으로. 상담학연구, 13(2), 891-915.
- 양정연, 권경인 (2020). 집단상담 작업동맹 척도 개발 및 타당화.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32(3), 1263-1296.
- 권경인, 양정연 (2015). 회피애착형 상담자가 지각한 상담관계경험에 대한 질적연구. 상담학연구, 16(3), 25-49.
- 권경인, 양정연 (2015). 콜센터 종사자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연구: 인바운드 상담원을 중심으로. 상담학연구, 16(6), 109-133.
- 권경인, 양정연 (2023). 집단상담에서 높은 작업동맹을 맺은 집단원의 경험에 관한 연구. 상담학연구, 24(1), 87-118.
- 김옥준, 양정연, 민경화 (2023). 약물중독 회복 중인 상담자의 약물중독자를 위한 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. 재활심리연구, 30(1), 1-23.